맨위로가기

FIBA 아프로바스켓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IBA 아프로바스켓은 아프리카 국가를 대상으로 하는 농구 국가 대항전으로, 1962년에 시작되었다. 예선은 지역별로 진행되었으나, 2021년 대회를 기점으로 예선 방식이 변경되어 모든 팀이 예선에 참여해야 한다. 역대 대회에서는 앙골라가 최다 우승국이며, 튀니지가 2021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 -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은 아프리카 축구 연맹 주관의 국가대항 축구 대회로, 자국 리그 선수만 참가 가능하며 아프리카 국내 리그 활성화와 자국 선수 국제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한다.
  •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 - 아프리카 U-23 네이션스컵
    아프리카 U-23 네이션스컵은 아프리카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23세 이하 아프리카 국가대표팀 간의 축구 대회로, 올림픽 축구 아프리카 지역 예선을 겸하며, 2011년 아프리카 U-23 선수권 대회로 시작하여 2015년에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토탈에너지스가 후원하며 이집트와 모로코가 자국에서 우승한 경험이 있다.
  • 1962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말레이시아 그랑프리
    말레이시아 그랑프리는 말레이시아 관광 진흥을 위해 1999년 시작되어 세팡 인터내셔널 서킷에서 개최되었으나, 2017년 대회를 마지막으로 종료되었다.
  • 1962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세계 조정 선수권 대회
    세계 조정 선수권 대회는 세계 조정 연맹 주관으로 매년 열리는 국제 조정 대회로, 올림픽이 열리는 해에는 올림픽 종목을 제외한 종목과 패러 조정 종목이 함께 진행된다.
  • 농구 대회 - 유로리그
    유로리그는 1958년 FIBA 유럽 챔피언스컵으로 시작되어 유럽 최고의 프로 농구 클럽 대회가 되었으며, 리그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18개 팀이 참가하며, FIBA와의 갈등을 겪었지만 독자적인 리그로 성장하여 레알 마드리드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농구 대회 - 윌리엄 존스컵
    윌리엄 존스컵은 FIBA 사무총장 레나토 윌리엄 존스를 기념하기 위해 1977년 시작되어 중화민국 농구 협회가 주최하는 국제 농구 초청 토너먼트이며, 다양한 국가의 팀들이 참가하여 풀 리그 방식으로 우승을 겨룬다.
FIBA 아프로바스켓
개요
종목농구
창립1962년
참가 팀 수16개 팀
관할 대륙FIBA 아프리카 (아프리카)
최근 시즌아프로바스켓 2025 예선
최다 우승(11회 우승)
관련 대회아프로바스켓 여자 대회
웹사이트FIBA 아프리카
역대 챔피언
가장 최근 챔피언(3회 우승)
설명남자 농구 대륙 선수권 대회

2. 예선

2021년 대회 전에는 FIBA 아프리카를 7개의 지역(Zone)으로 나누어 예선전을 진행했다. 각 지역은 할당된 출전권 수에 따라 예선 토너먼트를 개최하거나, 이전 대회 성적 등을 기준으로 본선 진출팀을 결정하였다.[1] 6개의 지역은 각각 2장의 출전권을 받았고, Zone 1은 1장만 받았다.[1] 개최국과 이전 아프로바스켓 우승팀도 각각 1장의 출전권을 받았으며, 2~3팀이 와일드카드로 선정되었다.[1]

그러나 2021년 대회부터 예선 방식이 변경되었다.[1] 와일드카드 제도가 폐지되었고, 이전 대회 우승팀 자동 진출권도 사라졌다.[1] 이제 모든 팀은 예선전을 거쳐야 하며, 이전 아프로바스켓 예선에서 탈락한 팀들은 사전 예선(pre-qualification)을 통해 다시 한번 기회를 얻게 된다.[1]

3. 역대 대회 결과

연도개최국width=1% rowspan=33|결승width=1% rowspan=33|3위 결정전
우승팀점수준우승팀3위점수4위
1962

카이로
아랍 연합 공화국|아랍 연합 공화국ar[1]66–4244–41
1964

카사블랑카
아랍 연합 공화국|아랍 연합 공화국ar[2]69–5753–51
1965

튀니스
70–5757–46
1968

카사블랑카
67–60중앙아프리카 공화국|중앙아프리카 공화국프랑스어76–60
1970

알렉산드리아
아랍 연합 공화국|아랍 연합 공화국ar[3]70–6376–56중앙아프리카 공화국|중앙아프리카 공화국프랑스어
1972

다카르
61–54107–74중앙아프리카 공화국|중앙아프리카 공화국프랑스어
1974

방기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중앙아프리카 공화국프랑스어72–6782–72
1975

알렉산드리아
70–6181–78
1978

다카르
103–722–0
1980

라바트
96–9097–83
1981

모가디슈
81–652–0
1983

알렉산드리아
94–6878–71
1985

아비장
84–7374–73
1987

튀니스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중앙아프리카 공화국프랑스어94–8773–71
1989

루안다
89–6265–53
1992

카이로
71–6697–81
1993

나이로비
69–6190–76
1995

알제
68–5558–51
1997

다카르
69–4879–55
1999

루안다 & 카빈다
79–7275–63
2001

카사블랑카
78–6877–71
2003

알렉산드리아
85–6581–79
2005

알제 & Staouéli
70–6188–76
2007

앙골라
86–7253–51
2009

트리폴리 & 벤가지
82–7283–68
2011

안타나리보
67–5677–67
2013

아비장
57–4057–56
2015

튀니스
74–6582–73
2017

다카르 & 튀니스
77–6573–62
2021

키갈리
78–7586–73
2025

앙골라
| | | |



'''참고:''' n/a는 라운드 로빈 토너먼트를 통해 최종 순위가 결정되었음을 의미한다.

FIBA 아프로바스켓 여자 대회는 아프리카 농구 연맹(FIBA Africa)이 주관하는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 간의 대회이다.

연도개최국width=1% rowspan=28|결승width=1% rowspan=28|3위 결정전
우승점수준우승3위점수4위
1966
196847–39
197044–3650–27
197447–4456–34
197788–5670–35
1979
198183–7383–71
1983
19842–0 [4]83–70
198668–64
199070–6886–75
199389–4363–57
199468–4853–29
199773–5990–62
200071–6380–79
2003[6]69–6361–47
2005[7]64–5759–51
2007[8]63–5673–58
2009[9]72–5776–57
201162–5471–62
2013[10]64–61 (OT)56–53
201581–6665–55
201765-4875–52
2019
'상세 정보''
TBD



: 풀 리그로 최종 순위 결정.

: 기권.

3. 1. 남자 대회

연도개최국width=1% rowspan=33|결승width=1% rowspan=33|3위 결정전
우승팀점수준우승팀3위점수4위
1962

카이로
아랍 연합 공화국|아랍 연합 공화국ar[1]66–4244–41
1964

카사블랑카
아랍 연합 공화국|아랍 연합 공화국ar[2]69–5753–51
1965

튀니스
70–5757–46
1968

카사블랑카
67–60중앙아프리카 공화국|중앙아프리카 공화국프랑스어76–60
1970

알렉산드리아
아랍 연합 공화국|아랍 연합 공화국ar[3]70–6376–56중앙아프리카 공화국|중앙아프리카 공화국프랑스어
1972

다카르
61–54107–74중앙아프리카 공화국|중앙아프리카 공화국프랑스어
1974

방기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중앙아프리카 공화국프랑스어72–6782–72
1975

알렉산드리아
70–6181–78
1978

다카르
103–722–0
1980

라바트
96–9097–83
1981

모가디슈
81–652–0
1983

알렉산드리아
94–6878–71
1985

아비장
84–7374–73
1987

튀니스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중앙아프리카 공화국프랑스어94–8773–71
1989

루안다
89–6265–53
1992

카이로
71–6697–81
1993

나이로비
69–6190–76
1995

알제
68–5558–51
1997

다카르
69–4879–55
1999

루안다 & 카빈다
79–7275–63
2001

카사블랑카
78–6877–71
2003

알렉산드리아
85–6581–79
2005

알제 & Staouéli
70–6188–76
2007

앙골라
86–7253–51
2009

트리폴리 & 벤가지
82–7283–68
2011

안타나리보
67–5677–67
2013

아비장
57–4057–56
2015

튀니스
74–6582–73
2017

다카르 & 튀니스
77–6573–62
2021

키갈리
78–7586–73
2025

앙골라
| | | |



'''참고:''' n/a는 라운드 로빈 토너먼트를 통해 최종 순위가 결정되었음을 의미한다.

3. 2. 여자 대회

FIBA AfroBasket영어 여자 대회는 아프리카 농구 연맹(FIBA Africa)이 주관하는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 간의 대회이다.

연도개최국width=1% rowspan=28|결승width=1% rowspan=28|3위 결정전
우승점수준우승3위점수4위
1966
196847–39
197044–3650–27
197447–4456–34
197788–5670–35
1979
198183–7383–71
1983
19842–0 [4]83–70
198668–64
199070–6886–75
199389–4363–57
199468–4853–29
199773–5990–62
200071–6380–79
2003[6]69–6361–47
2005[7]64–5759–51
2007[8]63–5673–58
2009[9]72–5776–57
201162–5471–62
2013[10]64–61 (OT)56–53
201581–6665–55
201765-4875–52
2019
'상세 정보''



:'''' 풀 리그로 최종 순위 결정.

:'''' 기권.

4. 메달 집계

FIBA 아프로바스켓의 메달 집계는 다음과 같다.

국가금메달은메달동메달총계
114217
56617
56617
3137
2305
1337
0101
0101
0011
0011


4. 1. 남자

년도수상자
2021마크람 벤 롬단



년도선수포지션
2021오마르 아바다포인트 가드align=left |
고르기 디엥슈팅 가드align=left |
마크람 벤 롬단파워 포워드align=left |
매트 코스텔로파워 포워드/센터align=left |
에디 타바레스센터align=left |



국가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2015 2017 2021 2025총계
align=left |2위7위4위---12위6위--16
align=left |1위1위1위1위1위2위1위2위7위5위Q22
align=left |----------1
align=left |------16위---1
align=left |---2위4위7위5위9위5위16위10
align=left |---3위13위-6위10위-4위7
align=left |9위5위5위7위6위6위13위14위11위14위20
align=left |-----15위----1
align=left |----16위-14위---7
align=left |---15위----6위13위7
align=left |3위3위-4위10위11위2위5위8위11위24
align=left |----------1
align=left |--9위----8위--3
align=left |----------1
align=left |--------16위8위6
align=left |8위11위10위8위2위4위4위12위14위2위24
align=left |---------9위4
align=left |---16위------2
align=left |----11위-----4
align=left |-12위---13위----3
align=left |11위-7위11위8위9위15위7위9위15위20
align=left |----------4
align=left |6위8위6위10위12위8위8위13위4위-20
align=left |10위10위11위14위14위10위11위11위12위-14
align=left |----------1
align=left |5위2위3위5위5위3위7위1위2위12위19
align=left |----------2
align=left |---12위9위12위10위-10위10위6
align=left |7위4위2위9위7위5위3위4위3위3위29
align=left |----------5
align=left |12위9위12위13위15위14위--15위-9
align=left |---------7위1
align=left |----------5
align=left |----------1
align=left |-----16위----4
align=left |4위6위8위6위3위1위9위3위1위1위23
align=left |-------15위13위6위3
align=left |----------1
align=left |-------16위--2
참가팀1212121616161616161616


4. 2. 여자

FIBA 아프로바스켓은 남자 대회만 존재하며, 여자 대회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주어진 문서와 요약은 "FIBA 아프로바스켓" (남자) 대회의 내용이므로, '여자'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5. 최우수 선수 (MVP)

FIBA 아프로바스켓에서는 매 대회마다 가장 뛰어난 활약을 펼친 선수에게 최우수 선수(MVP) 상을 수여한다.

5. 1. 남자

;최근 수상자 (2021)

수상은 2021년 9월 5일에 발표되었다.[4]

년도수상자
2021مكرم بن رمضان|마크람 벤 롬단ar



년도선수포지션
2021오마르 아바다포인트 가드튀니지
고르기 디엥슈팅 가드세네갈
مكرم بن رمضان|마크람 벤 롬단ar파워 포워드튀니지
매트 코스텔로파워 포워드/센터코트디부아르
에디 타바레스센터카보베르데


5. 2. 여자



FIBA 여자 아프로바스켓에 대한 내용은 FIBA 여자 아프로바스켓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참가국

FIBA 아프로바스켓에는 2025년 대회까지 총 39개국이 참가했다. 1962년 첫 대회에는 이집트, 에티오피아, 기니, 모로코, 수단 5개국이 참가했으며, 이후 매 대회마다 새로운 국가들이 참가했다.

다음은 각 대회별 첫 참가국 목록이다.

연도데뷔 팀개수
1962, , , ,5
1964, [5], ,4
1965,2
1968, , , ,5
1970align=left |1
1972, ,3
1974, ,3
1975없음0
1978,2
1980align=left |1
1981,2
1983align=left |1
1985align=left |1
1987없음0
1989align=left |1
1992없음0
1993align=left |1
1995없음0
1997,2
1999없음0
2001없음0
2003없음0
2005없음0
2007align=left |1
2009없음0
2011align=left |1
2013align=left |1
2015align=left |1
2017없음0
2021align=left |1
2025없음0
총계39


6. 1. 남자 대회 참가국 (20세기)

이전 응답에서 언급했듯이, 제공된 원본 소스는 "남자 대회 참가국 (20세기)" 섹션과 관련이 없는 내용입니다. 따라서 원본 소스를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이전과 동일하게, 주어진 원본 소스만으로는 요청하신 섹션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Afrobasket at theSports.org https://www.the-spor[...] 2021-09-05
[2] 웹사이트 Afrobasket at theSports.org https://www.the-spor[...] 2021-09-05
[3] 웹사이트 Afrobasket at theSports.org https://www.the-spor[...] 2021-09-05
[4] 웹사이트 MVP Ben Romdhane headlines FIBA AfroBasket 2021 All-Star team http://www.fiba.bask[...] FIBA 2021-09-05
[5] 문서 Palestine took part one time before return to Asia for the FIBA Asia Cup
[6] 웹사이트 2003 African Championship for Women http://archive.fiba.[...] FIBA.com 2014-01-06
[7] 웹사이트 2005 FIBA Africa Championship for Women Final Round http://archive.fiba.[...] FIBA.com 2014-01-06
[8] 웹사이트 2007 FIBA Africa Championship for Women Final Round http://archive.fiba.[...] FIBA.com 2014-01-06
[9] 웹사이트 2009 FIBA Africa Championship for Women http://archive.fiba.[...] FIBA.com 2014-01-06
[10] 웹사이트 2013 FIBA Africa Championship for Women http://archive.fiba.[...] FIBA.com 2014-0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